본문 바로가기

임신정보

임산부 첫 검사, 산전 검사의 모든것

임신 징후를 느꼈다면 바로 산전 초기 검사를 받아야 한다. 임신 사실뿐 아니라 태아에게 감염되는 질병을 앓고 있는지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첫 산전검사에 대해 알아보자.

 

 

 

 

 

 

산전검사를 왜 받아야 하나?


지병과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임신 징후를 느끼고 병원을 방문하는 시기는 대개 임신 6~7주 무렵이다. 이 시기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심장박동을 확인하면 첫 산전검사에 들어가야한다. 산전 초기 검사에서는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병과 몇 가지 감염 여부를 판별한다. 이 검사는 필수적인 것으로, 받지 않고 지나가면 태아에게 병이 옮기거나 특정질환을 평생 유전시킬 수 있으며, 심지어 태아가 사망하는 경우도 생긴다. 특히 매독과 풍진은 태아의 발육과 생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에서 발병빈도가 높은 간염은 신생아에게 전염되므로 반드시 바로 치료해야 한다.

 

 

 

 

 

 

 

어떤 검사는 받나?


소변검사

임신하면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호르몬은 소변과 함께 배출된다. 소변검사를 통해 임신여부는 물론 임산부에게 당뇨와 단백뇨가 있는지와 신장 · 방광 · 요도의 감염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임신중독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검사다.

※ 좀 더 정확하게 검사하려면 처음 나오는 20~25cc정도의 소변은 버리고, 그 이후에 나오는 소변을 1/4컵 정도 받는것이 좋다. 콜라나 주스 등은 수치를 높이므로 검사 전에는 절대 마셔사는 안되며, 물도 너무 많이 마시지 않는다.

 

 

몸무게&혈압측정

임신 중 몸무게 변화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이 바로 이어지므로 반드시 정기적으로 체크해야한다. 혈압 역시 자주 재어야 한다. 임신을 하면 혈관 기능의 변화로 혈압 이상이 일어나기 쉽고, 특히 높은 혈압은 임신중독증과 직결된다. 임신중독증에 걸리면 부종, 단백뇨 등으로 임신기간 내내 힘들게 보내게 되고 치료도 어려우므로 예방이 최선책이다. 첫 검사 때 나온 혈압을 기준으로, 이후 꾸준히 혈압을 측정해서 수치를 비교해가며 관리한다.

 

 

문진

문진할 때 의사는 앞으로 있을 진료에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임산부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해야한다. 보통 마지막 생리 시작일, 생리주기, 첫 생리 나이, 약물복용 여부, 유산이나 조산 경험 여부, 선천성 질환이나 지병 유무 등을 묻는다. 임산부의 나이가 만 35세 이상이면 염색체 이상과 기형아 발생률이 높아진다. 한편 엄마의 선천성 기형이 태아에게 영행을 미칠 확률은 2~4%이고, 아빠의 선천성 기형이 영향을 미칠 확률은 1% 정도이다.

 

 

촉진과 시진

촉진은 의사가 복부 등 필요한 부위를 만져서 진찰하는 것으로, 자궁이나 난소의 크기와 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또 눈으로 보아 진찰하는 것을 시진이라고 하는데, 질 내부와 자궁을 보다 자세하게 관찰할기도 한다. 어떤 방법으로 진찰할지는 상환에 따라 다르므로 담당의와 상의해 결정한다.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자궁경부암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브러시 같은 도구를 사용해 자궁경부의 세포를 체취한다. 검사 후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출혈이 지속될 경우 즉시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궁경부암은 임신 중에도 발병할 수 있으며, 출산 후 많이 진행된 상태로 발견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자궁경부암 검사는 받은지 1년이 지났다면 임신초기에 자궁경부에 이상 소견이 있는지 확인해 본다. 

 

 

질 초음파 검사

비니커버를 씌운 봉 형태의 진당장치를 질 속에 넣어 검사한다. 임신 초기에는 태아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복식 초음파로는 태낭의 위치나 크기를 정확하게 볼 수 없다. 따라서 질 초음파를 이용해 태낭 위치와 심장박동을 확인하고, 태아의 머리끝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재서 정확한 주 수를 진단한다.

 

 

혈액검사

팔에서 5~10cc정도의 혈액을 채취해 임산부의 혈액형을 확인하고, 질병 유무를 진단한다. 종합병원이나 산부인과 전문 병원에서는 1일, 개인병원에서는 3~4일 정도면 검사결과를 알 수 있다.

 

임신중 문제가 되는 병 CHECK

빈혈 태아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임산부 까지 위험할 수 있다.

심장병 심하면 조산 또는 사산의 원인이 되고, 최악의 경우 산모가 사망할 수도 있다.

고혈압 저체중아를 낳거나 임신중독증에 걸리기 쉽다.

저혈압 임신 중에는 혈압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 임신중독증에 걸리거나 태아이상, 정상분만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만성신장염 임신을 하면 신장의 부담이 커져 임신중독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자궁근종 근종이 커지거나 근종부위에 태반이 착상할 경우 태아나 임산부가 위험할 수 있다.

간염 입덧을 심하게 하거나 임신중독증에 걸리기 쉬우며, 간 질관이 악화될 수 있다.

결핵 출산 후에 악화되기 쉽고 신생아에게 감염될 위험이 있다.

 

 

 

 

 

 

 

 

 

혈액 검사로 확인하는 것


Rh인자

임산부와 태아가 모두 Rh+이거나 Rh-이면 괜찮지만, 서로 다를 경우 태아가 태내에서 사망하거나 태어난 직후 황달이 심해져 뇌성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풍진 항제검사

임신 12주 이내에 풍진에 감염되면 태아에게 백내장(혹은 녹내장), 청력장애, 심장질환, 발달장애 등 심각한 기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전에 항체 유무 검사를 받고 항체가 없다면 풍진예방백신을 맞아야 한다.

 

 

간염항체유무

간염 바이러스는 임산부의 체력을 떨어뜨려 태아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B형 간염 보균자이거나 현재 간염을 앓고 있다면 출산 과정에서 혈액이나 분비물 등을 통해 신생아에게 전염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출산 후 신생아에게 면역 글로불린을 접종해야 한다.

 

 

 

 

 

 

 

 

 

임신 전 받는 검사


빈혈검사

임신 전 철분수치가 정상이었어도 임신 후 빈혈이 생길 수 있다. 평소 빈혈이 있거나 다이어트를 했다면 더욱 주의한다.

 

 

간염검사

항체와 항원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한 후 필요하다면 접종한다. 1회의 접종이 아니라 기간을 두고 여러차례 접종하는데, 접종 중에도 임신은 가능하다.

 

 

풍진검사

백신을 접종한 후 3개월이 지나야 항체가 생긴다. 따라서 임신하기 3개월 전에는 풍진검사를 받고, 백신을 맞은 후 3개월 동안은 피임을 해야한다.

 

 

매독 혈청검사

모자보건법에는 임신 전이나 임신 14주이내 의무적으로 매볻 검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산부가 매독에 걸리면 태아가 선천성 매독중후군에 걸려 유산이나 사산할 수 있고, 임산부도 위험해질 수 있다. 유산의 고비를 넘긴다 해도 태아기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검사를 통해 양성반응이 나오면 부부가 함께 치료해야하며, 완치될 때까지는 피임한다.

 

 

자궁경부 바이러스 검사

만 20세 이상 여성은 2년마다 한번씩 국가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다. 곤지름 등 생식기 문제가 있는 경우 반드시 받는다.

 

 

 

 

 

 

 

 

검진 시 주의할 점


화장을 옅게 한다

색조화장은 하지 말고 매니큐어도 바르지 않는다. 안색과 손톱 색깔을 보는 것은 임산부 검진의 기본이다.

 

 

입고 벗기 편한 옷을 입니다

내진할 때는 속옷을 벗어야 하므로 치마차림이 좋다. 속옷은 입고 벗기 편한 것이 좋고 혈압측정이나 채혈에 대비해 소매를 걷기 쉬운 상의를 입니다.

 

 

외음부를 청결히 씻는다

병원에 가기 전 외음부를 씻되 분비물 검사를 위해 질 안은 씻지않는다. 검사 전날에는 성관계를 하지 않는다.

 

 

 

 

 

 

 

 

추가로 고려해볼 검사


산모에게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성병도 태아에게는 조산, 기형, 유산 등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성병 유무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한다. 에이즈, 클라미디아 검사는 모든 임산부에게 추천하며, 임질 등 기타 성병의 경우 위험 가능성에 대해 담당의와 상담한 후 검사여부를 결정한다.